Cart 0

No products in the cart.

0 Comments

신항섭 미술평론가

 

미술가의 상상은 시공을 초월한다. 그리하여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형

상의 세계를 만들어내고자 한다. 하지만 아무리 상상력이 뛰어난 미술가라고 할지

라도 결코 자연을 초월할 수는 없다. 미술가가 상상력을 동원해 창작한 그 어떤 형

상이든 그 원형은 자연에 있는 까닭이다. 인간이 태어나 성장하는 과정에서 보고

듣고 배우는 것이란 직간접적인 경험의 세계인 것이며, 그 중심에 자연이 존재한

다. 자연이란 인간을 포함하여 인위적으로 가공되지 않은 이 세상의 모든 존재를

의미한다.

한나영의 조각 역시 이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. 아니, 그는 좀 더 솔직히 자연

을 배우고자 하며 그로부터 영감을 받아들인다. 그가 응시하고 관찰하는 자연이란

그 자체로서 완벽한 아름다움을 실현하고 있다. 따라서 예술가적인 감수성으로 자

연을 보는 것 그 자체만으로 아름다움의 실체가 무엇인지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

. 자연미에 대한 전적인 동조야말로 그 자신의 조형적인 형식미의 출발점이다. 구

체적인 형태를 가지는 존재물뿐만 아니라, 무지개와 같은 자연현상에도 무심하지

않다. 피상적인 아니라, 자연에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말

해주는 대목이다.
‘담소’ ‘둥지’ ‘여심’ ‘대화’ ‘동심’ ‘愛애’ ‘이글’ ‘向향’ ‘生생’ 따위의 작품 명제가

말하듯이 자연과 인간 삶의 정서를 기반으로 한다. 자연미와 더불어 인간의 삶 속

에서 일어나는 희로애락의 감정과 연결된 아름다운 인간의 모습을 보자는 것이다.

하지만 그 외형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찬미가 아니라, 내적인 감정의 세계를 들여

다보고자 한다. 내적인 감정의 세계이면서도 자연미에서 벗어나지 않는 인간 본연

의 순수성을 기반으로 것이다.

그가 조형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자연이란 인간 형상을 포함하여 새 따위의 동적

인 존재들이다. 특히 인간에 대한 관심은 자연에 의해 주어진 형상 그 자체에 대한

표명이자 삶의 정서에 대한 숙고이다. 인간의 형상에 대한 관심은 조형적인 주제

를 제공하는 원인자로서의 형태미에 대한 접근이다. 여기에서 말하는 조형적인 주

제란 인간형상과 더불어 삶의 정서와 관련된 내용을 뜻한다. 사고하며 감정을 조

율하는 존재로서의 인간형상은 조형세계에서 형식과 내용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

는 대상이기 때문이다.

그러나 그의 경우 자연적인 존재로서의 인간형상을 그대로 가져오지 않는다. 일상

적인 삶의 모습 그 단편을 제재로 하는 그의 작업은 단순히 외적인 형태미만을 부

각시키는데 그치지 않고, 그 정서까지를 아우르고자 한다. 인격과 감정이 개재되

는 지점에다 인간의 형상을 놓으려는 것이다. 어쩌면 그가 추구하는 인간형상은

이성적이기보다는 감성적인 부분이 강조되고 있는지 모른다. 왜냐하면 그 형태미

는 이성적인 차가움 대신에 정감어린 시선을 갈구하고 있기 때문이다. 그렇다. 그

의 인물형상은 부드럽고 따스한 정서를 제공한다. 시각적인 아름다움 속에 거친

감정을 어루만져주는 따스함이 깃들이고 있는 것이다.

하지만 인간의 본래적인 형태는 해체 및 재해석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현

실적인 상과는 전혀 새로운 이미지로 바뀐다. 구체적인 형태가 사라지고 비구상적

인 언어로 재해석되는 것이다. 작품에 따라서는 사실적인 형상을 복원하기 힘들

만큼 생략적이고 함축적으로 은유되거나 암시될 따름이다. 눈 코 입은 물론이려니

와 팔다리조차 배려하지 않은 지극히 간략한 형태만이 제시되고 있다. 간신히 인

간의 형태를 지지하는 간략한 선과 단조로운 볼륨이 전부이다. 그러기에 인간의

형상을 유추하기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다.

그러나 부분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전체적인 시각에서 보면 인간의 형상이 역력하

다. 한 개 또는 두서너 개의 단괴로 구성되는 작품에서도 인간의 형상이 읽혀지는

것이다. 물론 그 형태가 구체적인 경우도 없지 않다. 새나 닭 따위의 동물의 형상

을 제재로 하는 작품은 금세 알아차릴 수 있을 정도다. 이런 식의 형태해석은 실상

을 단순화하고 생략하는 수법에 의해 가능하다. 반면에 구체성을 상실한 작품에서

는 형태가 완전히 해체되고 재구성되는 일련의 조형과정을 거치면서 최소한의 이

미지, 즉 응축되고 함축된 아름다움을 보자는 의도를 내포한다.

그의 조각은 이렇듯이 단순하고 단조로운 대신에 명쾌한 형태를 지닌다. 최소한

의 선과 볼륨만으로 인간의 이미지를 떠올린다. 그의 조각이 가지고 있는 특징과

비밀은 여기에 있다. 볼륨의 형태에 따라 형성되는 선과 곡면은 유려한 곡선을 발

생시키면서 최종적으로는 인간 형상에 도달한다. 그의 조형감각이 만들어내는 형

태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면서도 언제나 비대칭을 지향한다. 비대칭의 형상이면서

도 교묘한 균제감각을 통해 시각적인 안정감을 확보하고 있다. 다시 말해 그의 작

품은 앞뒤의 형태가 다르다. 인물상이면서도 서로 다른 두 개의 형태를 가지는 것

이다. 한마디로 진정한 의미의 환조가 가질 수 있는 특징을 보여주는 것이다.

이러한 발상은 인물조각이라는 정형화된 틀을 벗어나는 것으로 조형적인 기교인

셈이다. 하나의 작품에서 두 개의 형상을 본다는 것은 신선한 즐거움이다. 더구나

구체적인 인간의 형상이라기보다는 씨앗이나 곤충류 따위를 연상시키는 형태에

가깝다는 점에서 볼 때 지극히 자연스럽다. 그 자신의 조형감각에 의해 비구상적

으로 해석했음에도 불구하고 인위성을 감지할 수 없다. 그의 조각이 가지고 있는

조형적인 아름다움은 이처럼 자연미를 왜곡하지 않는 순수성으로 환원하는데 있

다. 인위적이면서도 결코 인위성을 드러내지 않는 자연스러운 조형미로 귀결하는

것이다.

Leave a Reply

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입력창은 *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

top